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해수부의 부산 이전은 이미 확정됐고 현재는 산하 기관들의 이전이 논의되고 있다.

 

물망에 오른 후보는 총 6곳으로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해양환경공단,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회,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조사협회가 있는데 이처럼 국가 기관들의 이전에 가속도가 붙다 보니 해양수도 부산의 실현 가능성을 위한 추가 기업, 기관들의 이전과 신규 설립도 재조명되고 있다.

 

대표적인 것은 바로 오늘날의 HMM인 구 현대상선과 해사법원.

사실 해사법원은 큰 문제가 없다. 해수부나 HMM처럼 기존에 있던 본부, 본사를 이전하는 것이 아닌 신규 설립의 개념이며 현재 경쟁 지역으로는 인천이 거론되고 있으나 해양 수도 부산의 아성에는 한참 못 미친다는 의견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해사법원 설립에 큰 걸림돌은 없다.

 

하지만 현대상선 부산 이전은 조금 다른 문제다.

먼저 현대상선은 대통령 선거 결과가 발표된 당일 성명서를 통해 부산 이전을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나타냈다.

 

당시 HMM의 주장은 두 가지로 하나는 부산 이전이 경영 효율성의 악화를 불러온다는 것이었고 하나는 정치권의 압력으로 인한 민간 기업 본사 이전은 기업의 자율성을 훼손한다는 것이었다. 이 두 가지를 주장하며 부산 이전 시 강력 투쟁에 나설 것이라 밝혔고.

 

하지만 국민들의 반응, 언론의 반응이 냉담한 것에는 다 이유가 있는데 오늘은 왜 여론이 현대상선의 부산 이전을 반대하지 않는지, 민간 기업을 어떻게 정치권의 입맛대로 움직일 수 있는지 살펴볼까 한다.

경영효율성 악화?

현대상선은 수도권에서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할 경우 경영효율성이 악화된다 말했지만 실상은 다르다. Maersk, CMA GGM, ONE, Hapag-Lloyd 등 수많은 글로벌 해운사들이 항만에 본사를 두고 있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

 

일부 직원들은 글로벌 마켓 셰어 1위 기업인 MSC도 내륙에 본사를 두고 있다 말하지만 애석하게도 MSC는 스위스 기업으로 애초에 스위는 바다가 없는 내륙 국가다. 즉, 항만에 본사를 두고 싶어도 항만이 없는 것이 MSC의 현실인 것이고 이 때문에 이탈리아 제노바항을 주요 거점으로 삼고 있다.

반응형

민간 기업의 자율성 훼손

지금의 20대, 30대 초반은 모르는 일이겠지만 과거 현대상선은 어마어마한 공적자금을 지원받은 적 있다. 2010년대 중반 해운업은 극심한 불황을 겪었고 이에 한진해운은 파산, 현대상선은 부채비율만 1,000%를 넘은 부실기업으로 파산 직전까지 갔으나 당시 국민들의 혈세 7조 원을 투입해 살린 게 지금의 HMM이다.

 

본래 기업을 정상적으로 돌리기 위해서는 구조조정이 불가피했으나 현대상선은 전면 고용승계를 요구했고 정부 역시 이를 수용하며 당시 길거리에 나앉을뻔한 직원들은 모두 고용승계 조건으로 현재까지 재직하고 있다.

참고로 당시 투입한 공적자금으로 인해 기업의 지분 구조에는 대대적인 변화가 있었고 현재 국가기관의 HMM 보유 지분은 합산 72.15%로 사실상 정부가 최대 주주인 상황이다.

 

*타임라인 요약

1. 2010년대 중반 해운업 불황

2. 한진해운 파산 및 현대상선은 파산 직전까지 감

3. 공적 자금 약 7조 원을 투입하며 기업을 살림

4. 이 과정에서 직원들도 전원 고용 승계

 

타임라인으로 요약하면 위와 같기 때문에 여론과 국민들 모두 현대상선 본사 직원들의 부산 이전 반대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