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이런 궁금증이 생기곤 한다.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는 무엇이며 생겨난 배경은 어떻게 되는 걸까?

 

그래서 오늘은 수백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의 역사와 탄생 배경에 대해 정리해볼까 한다.

때는 15세기부터 시작된 유럽의 대항해시대.

 

당시 유럽은 여러 개의 신대륙을 발견하며 무역 활동을 시작했고 새로운 땅을 식민지로 삼으며 영토를 확장했지만 대륙간 항해의 근본적인 목적은 무역에 있었기 때문에 외국과의 교역 활동에서 비롯된 수익 창출이 주요 목적이었다.

 

특히나 시간이 지날수록 운용하는 선단의 규모도 커졌고 그만큼 더욱 멀리, 더욱 넓은 대륙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유럽에서 거리가 멀었던 인도, 중국의 공산품들까지 교역에 성공하며 엄청난 인기를 끌었는데 그중에서도 중국의 도자기와 차, 후추를 포함한 인도의 향신료는 높은 부가 가치의 상품이었기 때문에 많은 유럽 국가들이 탐내던 교역품이었다.

 

때문에 높은 수익에 눈이 멀었던 네덜란드의 한 무역 회사는 동남아 시장 개척, 교역을 목표로 선단을 꾸려 무역을 시작했는데 놀랍게도 첫 항해에서만 4배가 넘는 수익이 발생했다는 것!

눈치 빠른 분들은 알겠지만 영국은 가만 있질 않았다.

 

네덜란드가 동남아 시장을 개척해 큰 돈을 쓸어 담는 걸 본 영국은 본인들도 "야, 이러지 말고 우리도 동남아로 가자! 어차피 항로는 풍차 나라에서 다 뚫어놨잖아~ 우리는 그냥 선단만 꾸려서 가면 될 것 같은데?"라며 대규모 선단을 꾸렸고 네덜란드가 개척한 동남아 항로를 기반으로 수입품을 닥치는 대로 쓸어 담았다.

 

네덜란드 입장에서는 열이 받았다. "아니 항로는 우리가 다 개척했는데 돈은 영국이 쓸어 담고 있네? 와 진짜 스트레스.."

 

물론 일반적인 생각으로는 네덜란드도 대규모 선단을 꾸리면 되는 것 아닌가 생각할 수 있는데 당시 네덜란드는 독립 전쟁 여파로 국가 재정이 파탄 직전이었기 때문에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어서 영국의 항해를 손 놓고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간단하게 말하면 죽 쒀서 개 준 꼴.

이때 한 명의 머리에서 천재적인 아이디어가 나왔다. 그건 바로 민간인들의 돈으로 대규모 선단을 꾸리고 이익의 일부를 지급하면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

 

당시 투자의 주체는 정부나 상인 연합처럼 굵직한 단체들이었기 때문에 민간인들 돈으로 선단을 꾸리자는 얘기는 상당히 혁신적인 아이디어였다.

반응형

그렇게 네덜란드는 국민들에게 투자라는 명목으로 돈을 모아 회사를 설립했는데 이게 바로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로 인정받는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다.

 

하지만 여기서도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원래 정부나 상인 연합의 돈으로 꾸릴 때는 투자 주체가 많아야 2~3곳이었기 때문에 수익 배분이 어렵지 않았으나 네덜란드의 동인도 회사 설립에 모인 투자자만 1,100명이 넘었고 저마다 투자금도 달랐다 보니 수익 배분 방식에 대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

결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투자금을 기준으로 수익금 배분 비율을 결정했고 자금에 대한 소유권을 종이로 기재해 투자자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여기서 투자자들에게 종이를 나누어 준 이유도 간단했다. 1,100명의 증서를 회사가 보유했다가 분실할 경우 모두 회사의 책임이 되지만 만약 투자자가 증서를 잃어버려 수익을 받지 못할 경우 책임을 투자자에게 돌릴 수 있었으니 말이다.

 

결국 지분이 적힌 종이는 수익 분배와 지분에 대한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었고 이게 바로 오늘날 최초의 주식 증서가 된다.

 

이뿐만이 아니다.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주식 증서는 단순하게 수익에 대한 분배 금액. 즉, 배당금뿐만 아니라 기업의 소유권을 나타낸 종이다 보니 당장 현금이 필요한 사람들은 증서를 원하는 사람에게 팔아 이익을 취하며 주식의 거래 시장까지 생겼고 이러한 투자 방식이 성행하며 자본 시장이 활성화되자 증서를 관리하는 새로운 기구를 설립하게 된다.

이게 바로 세계 최초의 주식에 이어 세계 최초의 증권 거래소로 평가받는 암스테르담 증권 거래소.

 

이와 같은 민간인 투자 방식의 자본 시장 시스템은 네덜란드를 순식간에 부국으로 만들었고 암스테르담의 증권 거래소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성공 스토리를 지켜본 유럽 열강들이 너도나도 주식 및 증서 시스템에 동참하며 오늘날의 주식 투자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상 여기까지가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탄생 배경이었는데 오늘도 유익한 글이 되었기를 바라본다.

728x90
반응형